My footsteps

오라클 SQL / 9 + 마리아 DB 본문

국비수업/수업정리

오라클 SQL / 9 + 마리아 DB

밀김 2023. 5. 2. 10:07
728x90

 

 

 

 

 

 

 

 

 

 

 

오라클 마지막 수업 ~ !

 

 

 

SELECT ROWNUM, M.* FROM (SELECT * FROM MEMBER_VIEW ORDER BY REGDATE DESC) M;


--------------------------------------------------------------------------

//테이블을 쓰지 않고 VIEW를 씀

SELECT * FROM(
    SELECT ROWNUM NUM, M.*FROM(
        SELECT * FROM MEMBER_VIEW ORDER BY REGDATE DESC
    )M
)
WHERE NUM BETWEEN 6 AND 10;

 

 

 

- 읽기만 가능하게 할때는 VIEW를 씀, 또는 특정 컬럼을 가리고 싶을때

 

- 쿼리의 중첩을 VIEW로 깰수 있다(?) => 중첩을 제거하려고 VIEW를 씀

 

- DBA가 해야할 일과 프로그래머가 해야할일을 구분 지을 필요가 있다

 

 

 

SELECT * FROM(
    SELECT ROW_NUMBER() OVER(ORDER BY REGDATE DESC) NUM,
    M.* FROM MEMBER_VIEW M)
WHERE NUM BETWEEN 6 AND 10;
--서브쿼리를 이용해 순서를 먼저 정해준다
--하지만 지양해야 하는 방법. 실행 속도가 배로 늘어남

 

 

 

- OVER : 윈도우 함수를 사용할때 윈도우의 범위를 지정하는 키워드

 

- ROW_NUMBER() : 분석함수.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함이지, 성능은 전혀 신경 안쓰는 애임

 

 

 

 

 


 

 

 

 

마리아 디비 첫수업~!!

 

 

 

< 마리아 DB >

 

 

*설치방법*
- https://dev.mysql.com/downloads/workbench/ 다운

 

 

 

- 마리아 디비는 숫자형타입,날짜형타입,문자열타입만 보면 된다 

 

- 실수형은 fixed와 floating(지수표현)이 있다 

 

- 마리아 디비는 char,varchar만 쓴다

 

 

 

 


1. 데이터 베이스 설계 
1. 개념설계
a) 내가 어떤 것을 데이터로 관리해야 하는지를 찾아내는 작업
결과물 : Entity Relation Diagram -> ERD (릴레이션:행위(~하다)->db에 저장 / 엔티티(명사/회원,고객):주체(역할자),대상)

 


    2. 논리설계
a) 내가 찾아낸 데이터를 어떤 구조로 저장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작업
        결과물 : 정규화된 테이블 구조

 


    3. 물리설계
a) 내가 저장할 구조를 어떤 DBMS(데이터베이스관리)를 대상으로 할지를 결정하는 작업
        결과물 :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형식을 정의
2. 데이터베이스 구현


 

 

 

 

 

 

 

 

 

 

 

728x90

'국비수업 > 수업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화 / 1  (0) 2023.05.04
ERD 피드백  (0) 2023.05.03
오라클 SQL / 8  (0) 2023.05.01
오라클 SQL / 7  (0) 2023.04.28
오라클 SQL / 6  (0) 20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