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footsteps

정수,실수 값의 크기와 범위 / 변수 / 출력 스트림 객체와 API / 문자코드 출력 본문

국비수업/수업정리

정수,실수 값의 크기와 범위 / 변수 / 출력 스트림 객체와 API / 문자코드 출력

밀김 2023. 2. 15. 10:14
728x90

 

 

 

 

 

- byte는 8개의 bit를 묶어서 1byte라고 한다

 

- byte 두개를 묶으면 word > word 두개 묶으면 double

 

- KB > 1024 byte 라는 뜻 / Kb > 1024 bit (대소문자 유의)

 

- 정수는 음수도 포함이다

 

 

 

 

- 이렇게 하면 음수,양수 쪽에서 0이 나와서 0이 두개가 된다. 중복은 필요없기 때문에 음수쪽 0은 없는걸로 친다

 

 

 

- 해서 범위가 이렇게 바뀜

 

 


 

 

- 일반적인 값을 나타내는건 정수, 정밀도를 나타내는건 소수점

 

- 12.125 > 1.2125e1 : e1은 지수부, 그 앞은 모두 가수부 

 

https://www.youtube.com/watch?v=wI7mVv1GYwA&list=PLq8wAnVUcTFV7wEVu2qcAChtAOYusZwzj&index=13 


 

 

- 모든 키워드는 선언하고 사용해야한다 (변수 함수 참조변수 ...)

  ex) 변수 : int kor; 함수: void add(int x, int y); 참조변수: Animal 순심이;

 

 


 

 

- printf = API

 

- 모든 어플리케이션은 자기가 출력할 내용을 버퍼함에 넣는다. 그로인해 데이터 손실도 막고, 대기도 줄어듦

 

- 버퍼: 어떤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일어나는 시간의 차이나 데이터 흐름의 속도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장치

(송신 속도가 빠른데 수신은 느리니까 그 중간에 미리 송신되어온걸 저장해놓는게 버퍼..!! 버버퍼링야~~암온어 글리치모드~~)

 

- 버퍼는 사용자가 직접 마련해야 한다

 

- 스트림 = 버퍼 = 출력

 

- 우리는 출력버퍼에 출력하는거고 실행환경을 거쳐 모니터에 출력되는것

 

- 개체 entity는 정보를 표현하는 단위 / 객체 object는 사물(전산에서는 소프트웨어 또는 시스템)을 표현하는 단위

 

- 객체를 식별하는것(이름붙이는것)을 참조라고 한다

 

 

 

 

 

 

 

 

https://youtu.be/DJ-gPOT7WNM

 

 

 

 

- wirte print printf.. > 출력을 위한 함수

(System.)out이라는 객체를 이용

 

- read skip .. > 입력을 위한 함수

(System.)in이라는 객체를 이용

 


 

 

 

 

- 키보드에서 a를 누르면 a가 들어가는게 아니라 그에 맞는 '키코드'라는 식별자가 컴퓨터에 입력된다

 

https://youtu.be/phQVx2yCX6w

 

 

 

 

 

 

- wirte( )는 담아놓는거고 flush( )가 출력함. 변기물 내리는거 = flush

 

- 유니코드 : 각 국 나라 언어가 중복되지 않게 구분한..

 

 

         int code = 'A';
         int x = code;
         
         System.out.write(x);
         System.out.flush();
         int code = 'A';
         
         System.out.write(code);
         System.out.flush();

 

 

- 두 식 다 결과값은 A가 출력된다. 하지만, 문자는 문자형식(char)에 맞게 써주도록하자. 예시는 예시일뿐

 

- 기호의 코드값을 출력하길 원한다면 ' ' 홑따옴표 안에 넣고 출력

 

- flush가 필요한 이유는, 출력스트림이 꽉 차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하기 위해서는 flush를 쓰는것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