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 0911
팀노션
https://www.notion.so/8625fe231d0f48269f3a83380c85f177
- 이번 프로젝트는 문서화, 테스트주도개발로 할것임
- 액션테이블: 엔티티와의 상호작용(동사로 표현되면 액션테이블이다. 액션테이블이 곧 매개테이블이 됨)
- 참조아이디는 참조테이블명을 따른다
- 입찰 테이블이 곧 입찰내역. 입찰내역리스트를 가져오려면 JOIN을 통해 가져와야한다
- 칼럼쓸때 전부다 소문자, 띄어쓰기는 _ 로
- 식별,비식별 / 부모테이블의 기본키를 자식테이블이 기본키로 쓰는것이 식별이고 참조키를 갖다쓰지 않으면 비식별
- 데이터가 중복이면 테이블을 만들어서 참조키로 사용한다!!
- 북마크는 액션테이블이다
- 참조키+참조키를 기본키로쓰는걸 복합키라고 한다
- 입찰 낙찰 경매 유찰 = 모두 경매로 통일!!
FRONT
1. C드라이브에 AUCTION 폴더 생성후 비주얼스튜디오로 오픈
2. 레포지토리 초기화 (이과정은 각자 레포지토리에만 생긴것)
3. git remote add origin 깃주소 ▶ 이렇게하면 원격에 연결
4. npm (노드 프로젝티드 매니저)
5. npm init vue@latest ▶ 뷰의 가장 최신버전 다운
6. a+tap 누르면 폴더 경로 알아서 적어줌
7. i = install 패키지 자동 설치
* npm run dev : 서버실행
* assets : css 넣기 / public : img 파일 /
* main은 배포하는 브랜치 / 기능단위로 브랜치명을 할꺼다
- veu 파일만들때 첫번째 글자는 대문자
- 경로이동은 routuer에 작성
BACK
- 빌드와 배포의 차이
" 서버에 반영을 하는 것을 배포라고하고 배포 하기 위한 과정을 빌드 라고 함"
- 서비스를 사용할때마다 인스턴스는 계속 생성된다
- 메모리는 한정적이다
- bin으로 등록된 단 하나의 인스턴스만 사용하는것 = 싱글톤 패턴
- bin이 관리되는 공간이 스프링컨테이너
- bin으로 등록하는 방법 @Component (스프링컨테이너에게 이 인스턴스를 사용하겟다)
- 트렌젝션어노테이션하나로 롤백기능을 지원한다는것이 스프링의 굉장한 장점이다
- 핵심기능이아닌거 : 공통관심사항 (데이터 처리 속도가 얼마나 걸리는지 체크)
- aop : 공통관심사항을 한번의 코드 작성으로 가능하게 하는것.. ▶ 관점지향적
AOP의 핵심은 공통 모듈을 분리시켜 해당 소스코드가 외부의 다른 클래스에서 존재하는 것
< 다음주까지 할일 >
- 내 피그마에 코멘트 달린거 UI 수정하기
- front 라우팅 구조같은거 익혀오기 (메추리 코드 보면서)
- 인프런강의 완강 (무조건 따라치면서!!!) H2는 좀 가볍게 봐도됨
[무료]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학습 첫 길잡이! 개발 공부의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 📣 확인해주세
www.inflear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