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실습 / 8️⃣
✏️ int형 배열 변수 arrays를 선언해주세요
✏️ int형 배열 변수 arrays에 크기가 10인 배열을 만들어주세요
✏️ arrays의 모든 값들을 출력해보세요. 왜 그 값이 나오는지도 설명해보세요.
int[] arrays = new int[10];
for(int i=0; i<10; i++)
System.out.println(i);
0~9까지 값이 나오는데 이유는 for문으로 9가 될때까지 돌렸기 때문이다..ㅋ i를 출력하면 배열의 값이 나오고 arrays[i] 를 출력하면 자릿값이 나온다.
✏️ arrays.length를 출력해보세요.
10
✏️ arrays의 마지막 값을 arrays.length를 이용해 출력해보세요.
9
✏️ 배열의 length와 index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length는 배열의 길이를 의미하는거고, index는 배열의 위치를 의미한다 (0번부터 출력)
✏️ for문을 이용하여 arrays에 정수 0부터 9까지 채운 후, 출력해보세요.
package ex3.control;
public class homework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ays = new int[10];
for(int i=0; i<10; i++)
System.out.println(i);
}
}
✏️ 위의 arrays의 값 9부터 0까지 거꾸로 출력해보세요.
package ex3.control;
public class homework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ays = new int[10];
for(int i=0; i<10; i++)
System.out.println(arrays.length-1-i);
}
}
✏️ 배열에서 index가 5인 값(=위치가 5인값)을 출력해보세요.
int[] arrays = {0,1,2,3,4,5,6,7,8,9};
for(int i=0; i<arrays.length; i++) {
if(i==5) {
System.out.println(arrays[i]);
}
}//for문끝
✏️ 배열에서 값이 6인 index를(6의 위치) 찾아 출력해보세요.
int[] arrays = {0,1,2,3,4,5,6,7,8,9};
for(int i=0; i<arrays.length; i++) {
if(arrays[i]==6) {
System.out.println(i);
}
}//for문끝
✏️ 배열에서 값이 3의 배수인 값을 찾아 출력해보세요.
int[] arrays = {0,1,2,3,4,5,6,7,8,9};
for(int i=0; i<arrays.length; i++) {
if(arrays[i]%3==0) {
System.out.println(i);
}
}//for문끝
✏️ 배열에서 값이 2의 배수인 경우만 index를 출력해보세요.
int[] arrays = {0,1,2,3,4,5,6,7,8,9};
for(int i=0; i<arrays.length; i++) {
if(arrays[i]%2==0) {
System.out.println(i);
}
}//for문끝
✏️ index가 2의 배수인 경우 기존 값에 두배를 재할당한 후, 출력해보세요.
int[] arrays = {0,1,2,3,4,5,6,7,8,9};
for(int i=0; i<arrays.length; i++) {
if(arrays[i]%2==0) {
i = i*2;
System.out.println(i);
}
}//for문끝
✏️ char형 배열 변수 cArray를 선언해주세요.
✏️ char형 배열 변수 cArray에 크기가 10인 배열을 만들어주세요.
✏️ for문을 이용하여 cArray에 ‘a’부터 ‘j’까지 채운 후, 출력해보세요. (문자 ‘a’의 아스키 코드값은 97입니다.)
a b c d e f g h i j // 97~106
{
char[] cArray = new char[10];
for(int i=0; i<10; i++) {
cArray[i] = (char)(i+97);
System.out.println(cArray[i]);
}
}
✏️ 위 cArrays의 값 ‘a’부터 ‘j’까지 거꾸로 출력해보세요.
{
char[] cArray = new char[10];
for(int i=0; i<10; i++) {
cArray[i] = (char)(i+97);
System.out.println((char)((cArray[i]-1)+1));
//괄호 잘 쳐줘야함. +1을 또 한 이유는 안해주면 문자가 밀려서 0이 다른 기호로 나오고
//j가 출력이 안됨. 그래서 +1을 해서 0을1로 만들어주면 제자리찾아서 출력됨
}
}
✏️ 배열에서 index가 0이거나 6일 때 값을 출력해보세요.
{
char[] cArray = new char[10];
for(int i=0; i<10; i++) {
if(i==0 || i==6)
System.out.println(i);
}
}
✏️ 배열에서 값이 ‘e’인 index를 찾아 출력해보세요.
{
char[] cArray = new char[10];
for(int i=0; i<10; i++) {
cArray[i] = (char)(i+97);
if(i==5) {
System.out.println(i);
}
}
}
✏️ 배열에서 index가 2의 배수인 경우만 값을 출력해보세요.
{
char[] cArray = new char[10];
for(int i=0; i<10; i++) {
if(i%2==0)
System.out.println(i);
}
}
✏️크기가 10인 정수형 배열 arrays의 index가 0, 2, 4, 6, 8일때 값 1을 채운 후, 배열의 모든 값을 출력해주세요.
{
int[] arrays = new int[10];
for(int i=0; i<arrays.length; i++) {
if(i%2==0) {
arrays[i] = 1;
}
System.out.print(arrays[i]);
}
}
✏️다음 배열의 크기를 출력해보세요
int[] nums = { 1, 32, 56, 22, 33, 5, 82, 65, 99 };
{
int[] nums = { 1, 32, 56, 22, 33, 5, 82, 65, 99 };
for(int i=0; i<nums.length; i++) {
System.out.println(i);
}
}
✏️다음 배열에서 값이 12인 index는 몇인가요?
int[] nums = { 3, 6, 9, 12, 15};
{
int[] nums = {3, 6, 9, 12,15};
for(int i=0; i<nums.length; i++) {
if(nums[i]==12) {
System.out.println(i);
}
}
}
✏️ 닭장 chickens에 닭들이 스트레스 받지않게 닭들을 번갈아가며 넣어주세요.
char[] chickens = { '없', '없', '없', '없', '없'};
출력 결과 : 닭 없 닭 없 닭
- 순한 첫번째칸과 마지막 칸의 닭은, chickens[?]를 이용해서 넣어주세요. 1 4
- 닭장 세번째 칸의 닭은 성격이 까다로워서 for문과 index를 이용해서 넣어주세요.
{
char[] chickens = { '없', '없', '없', '없', '없'};
char index = 0;
for(int i=0; i<chickens.length; i++) {
if(i==0 || i==2 || i==4)
chickens[i] = '닭';
System.out.println(chickens[i]);
}
}
✏️배열 nums의 값 중, 크기가 50이하인 값과 인덱스를 모두 출력해보세요.
int[] nums = { 1, 32, 56, 22, 33, 5, 82, 65, 99, 33, 5, 1, 32 };
값 : 32, 인덱스는 : 1
값 : 22, 인덱스는 : 3…
int[] nums = { 1, 32, 56, 22, 33, 5, 82, 65, 99, 33, 5, 1, 32 };
for(int i=0; i<nums.length; i++) {
if(i<=50) {
System.out.printf("값: %d\n",nums[i]);
System.out.printf("인덱스: %d\n",i);
}
}
✏️위의 문제를 거꾸로 출력해보세요.
값 : 5, 인덱스는 5
값 : 33, 인덱스는 4…
int[] nums = { 1, 32, 56, 22, 33, 5, 82, 65, 99, 33, 5, 1, 32 };
for(int i=0; i<nums.length; i++) {
if(i<=50) {
if(nums[nums.length-1-i]<=50) {
System.out.printf("값: \t%d\n",nums[nums.length-1-i]);
System.out.printf("인덱스: \t%d\n",nums.length-1-i);
}
}
}
✏️배열 nums에서 두번째 5의 index를 출력해보세요.
int[] nums = { 1, 32, 56, 22, 33, 5, 82, 65, 99, 33, 5, 1, 32 };
int index = -1;
{
for(int i=0; i<nums.length; i++) {
if(5==nums[nums.length-1-i]) {
index = nums.length-1-i;
break;
}
}
System.out.println(index);
}
✏️크기가 10인 문자형 배열 chars에 for문, swtich문을 이용하여 다음 369게임 출력 해주세요.
char[] chars = new char[10];
for(int i = 0; i < chars.length; i++) {
}
출력은 : 1 2 짝 4 5 짝 7 8 짝 10
{
char[] chars = new char[10];
for(int i = 0; i < chars.length; i++) {
if(i!=0 && i%3==0) {
System.out.println('짝');
}
switch(i) {
case 1:
System.out.println("1");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2");
break;
case 4:
System.out.println("4");
break;
case 5:
System.out.println("5");
break;
case 7:
System.out.println("7");
break;
case 8:
System.out.println("8");
break;
case 9:
System.out.println("10");
break;
}
}
{
char[] chars = new char[10];
for(int i = 0; i < chars.length; i++) {
int z = (i+1)%3;
switch (z) {
case 0:
chars[i] = '짝';
break;
default:
chars[i] = (char)(i+49);
}
System.out.println(chars[i]);
}
}
요건 또 다르게 푸는거..인데 잘 몰겟슴 ㅎㅎ
👇토요스터디로 다시 풀어놓은것👇
(두번째 푼게 더 정확함..)
토요스터디 / 1주차 (배열 실습 복습)
학원 96즈 칭구들과 새롭게 시작한 토요슷허디!! 열심히 해보겟숨다. package ex3.control; public class homework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int형 배열 변수 arrays를 선언해주세요 ✏️ int형 배열
m-r96.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