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수업/수업정리

입출력 / 변수 선언 keyword

밀김 2023. 2. 15. 14:50
728x90

 

 

 

 

 

▣ 부동소수점

: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해놓지 않고 유동적으로 움직일수 있어서 표현할수 있는 범위가 넓음

 

 고정소수점

: 실수를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누어 표현함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음

 

▣ 버퍼

: 어떤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보내기전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 해놓는 장치

 

▣ 버퍼가 필요한 이유

: 송신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앞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갖고 있다가 나머지들도 모두 송신이 완료되면 한꺼번에 수신받기때문에?

예시로 택배함이 없으면 택배가 왔을때 내가 멀리있어도 직접 받으러 가야하는데 택배함이라는 버퍼가 있으면 거기에 쌓아두고 필요할때 효율성 있게 가져가면 되니까..

 

입출력 스트림

: 방향성(입출력)을 가지는 버퍼를 스트림이라고 한다

 

동기/비동기

: 동기는 데이터의 요청이 하나씩 진행되는것이고, 비동기는 데이터 요청하고 다른 외부활동을 할수 있다

ex) 동기카페는 음료주문하고 나올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비동기카페는 음료주문하고 진동벨 나오면 내 할거 하면서 기다려도 된다

 

개체와 객체, 인스턴스

: 개체는 정보를 표현하는 단위이고 객체는 사물을 표현하는 단위이지만 객체와 인스턴스는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실체 그 자체가 객체고 그 객체에서 또 개별적인것이 인스턴스이다

 

 참조변수

: 값이 들어간 주소를 갖고 있는 변수. 

 

문자코드,유니코드,아스키코드

: 문자코드 / 통신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것

유니코드 / 전 세계 모든 문자를 다룰 수 있도록 부호화된 표준 문자 전산 처리 방식

아스키코드 / 미국 ANSI에서 표준화된 정보교환용 부호체계

 

변수 선언, 정의, 여러 변수를 한번에 선언하는 방법

: 정의 /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며, 변수는 수시로 값이 변경되며 하나의 값만 저장할수 있다.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사라진다

선언 / 변수의 타입 변수의 이름 세미 콜론 > int number;

여러 변수를 한번에 선언하는 법

int x;

int y;

int z;

또는 int x,y,x; (변수의 타입이 같을 경우는 이렇게 한줄로 한번에 가능)

 

변수 명명 규칙

: 1.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하다 유의하기!

2. 특수문자는 _와 $만 가능

3. 변수이름이 숫자로 시작하면 안됨

4. 변수이름이 키워드(int, float, char..)면 안됨

 

여러가지 표기법

: 카멜 / 변수,함수 등 이름 맨첫글자를 제외한 각 합성어의 첫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는것 ex) avgNumber;

스네이크 / 변수,함수 등 이름의 띄어쓰기를 언더바(_)로 표기하는것 ex) user_name

파스칼 / 변수,함수 등 이름의 첫 시작은 항상 대문자로 하는것 ex) HelloWorld

*자바에서는 파스칼을 사용한다*

 

 

 

 

 

 

 

728x90